sql 튜닝, airflow 마이그레이션, 기타 등등을 진행하던 와중에 문제가 생겼습니다.
[sql] Like 연산자 알아보기
저는 사내 재고 분류를 위한 데이터 마트 구성을 담당하고 있습니다. 시기별로 이 상품이 어떤 재고인지(양성 / 악성 / …) 분류되는 기준을 걸러내는데, 이 때 많이 사용하는 연산자가 Like입니다.
[Airflow] Airflow on Kubernetes - 1. Minikube
앞선 포스팅에서 언급했듯, 현업에서 managed airflow의 2가지 문제점에서 한계를 느꼈습니다.
[Airflow] MWAA Stuck in queue
현업에서 온프레미스 Airflow를 거쳐 현재는 AWS Managed Airflow인 MWAA에서 Airflow를 운영하고 있습니다. 다소 가격이 비싸지만 데이터 엔지니어링에 많은 여력을 쏟을 수 없는 경우에는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.
[Spark] repartition, coalesce 속도 비교
저는 업무에서 AWS를 사용해 Spark Job을 돌리고 있습니다. 마지막에 파티션을 병합해야 결과 파일이 하나로 모이기 때문에, 파티션 1개로 병합하는 작업을 거칩니다.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메서드가 파티션 갯수를 조절하는 repartition, coalesce 입니다.
[Airflow] Executor Deep Dive 2-2. CeleryExecutor 2
1장에서는 sorted_queue가 어디서부터 생겨나는가?를 보았습니다.
[Airflow] Executor Deep Dive 2. CeleryExecutor
Executor Deep Dive 2번째 파트 CeleryExecutor입니다. 사실 LocalExecutor는 production 환경에서 사용을 권장하지 않습니다. 그러나 CeleryExecutor부터는 production 환경 사용도 권장하고 있습니다.
[Airflow] Airflow 컨트리뷰터가 되었습니다!
이전 포스팅 [Airflow] Executor Deep Dive 1-2. LocalExecutor.LimitedParallelism에서, LimitedParallelism 클래스가 시작되면 worker가 parallelism 옵션에서 지정한 숫자(self.executor.parallelism
)만큼 생성되는 것을 보았습니다.
[Airflow] Executor Deep Dive 1-2. LocalExecutor.LimitedParallelism
생각보다 UnlimitedParallelism이 길어졌습니다. 지난번 포스팅에서 LocalWorker 클래스가 초기화되면 LocalWorkerBase 클래스의 execute_work가 실행된다는 것까지 살펴봤습니다.